본문 바로가기
Data Engineering/Linux

[Linux]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정리

by Toritol 2022. 8. 25.
728x90

 최근 Linux에 입문하고 기초적인 것들만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했던 명령어들이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자주 사용했던 명령어들 위주로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 명령어 정리는 https://shanepark.tistory.com/196 블로그를 주로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cd (Change Directory) : 경로 이동 명령어

  • cd {directory name} :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상위 폴더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절대 경로로 이동

 

ls (List segments) : 파일 목록 조회 명령어

  • ls : 현재 디렉토리 파일 목록 조회
  • ls {directory} : 해당 디렉토리 파일 목록 조회
  • ll : 현재 디렉토리 파일 목록의 구체적인 정보 조회

 

cat (Concatenate) : 파일 내용 출력

  • cat {file name} : 해당 파일의 내용을 출력

 

vi : 파일 내용 편집

  • vi {file name} : 해당 파일의 내용을 편집 (vi 내에서도 별도 명령어가 존재 - https://blockdmask.tistory.com/25)
  • 내용 전체 삭제 방법 : 'gg' 명령어로 첫 번째줄로 이동 후, 'dG(d + shift g)' 명령어로 첫 번째줄 아래 모두 삭제

 

chmod (Change Mode) : 사용 권한 변경

  • chmod {option} {mode} {name} : 해당 폴더나 파일의 사용 권한 변경
  • ex) chmod 755 test.sh (option과 mode에는 다양한 인자들이 존재하므로 추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mkdir (Make Directory) :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

  • mkdir {directory name} : 해당 이름의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 

 

rm (Remove) : 해당 파일이나 디렉토리 삭제

  • rm {file name} : 해당 이름의 파일 삭제
  • rm -r {directory name} : 해당 이름의 디렉토리 삭제
  • rm -f {name} : 강제로 파일을 삭제하고 대상이 없는 경우에는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음

 

cp (Copy), mv (Move) : 해당 파일이나 디렉토리 복사, 이동

  • cp {name(1)} {name(2)} : name(1)에 해당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name(2)로 복사
  • mv {name(1)} {name(2)} : name(1)에 해당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name(2)로 이동
  • mv의 경우에는 파일이나 디렉토리 이름을 바꾸는 경우에도 사용

 

echo : 문자열 출력

  • echo {text} : 해당 텍스트를 출력

 

grep : 입력된 파일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는 명령어로, 다양한 옵션을 가짐

  • grep -e "Pattern" [File name] : 해당 파일에서 Pattern을 가진 문자열을 추출

 

  해당 명령어들의 인자 및 활용도가 더 다양하겠지만, 직접 사용했던 기능들을 위주로 정리하여 간단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내용들은 Linux 공부를 계속해나가면서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참고>

https://recipes4dev.tistory.com/157

 

리눅스 grep 명령어 사용법. (Linux grep command) - 리눅스 문자열 검색

1. grep 명령어. grep은 입력으로 전달된 파일의 내용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고자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이죠. 하지만 grep 명령어가 문자열을

recipes4dev.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