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h_profile이란 환경 변수와 bash가 수행될 때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지역적인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입니다. 설정된 변수나 경로들은 오직 해당 계정에만 한정되며, 그 외의 계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1]. 간단하게 말하면, 특정 Linux계정에서 자주 사용하는 변수나 명령어들을 미리 지정해놓고, 로그인할 때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파일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추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드가 먼저 나오고, 설명이 아래에 나옵니다.)
(base) [root@server /]# cd
우선 홈경로로 이동합니다.
(base) [root@server ~]# vi .bash_profile
# .bash_profile
# Get the aliases and functions
if [ -f ~/.bashrc ]; then
. ~/.bashrc
fi
# User specific environment and startup programs
PATH=$PATH:$HOME/bin
export PATH
vi 편집기를 통해 bash_profile을 열어줍니다.
# .bash_profile
# Get the aliases and functions
if [ -f ~/.bashrc ]; then
. ~/.bashrc
fi
# User specific environment and startup programs
PATH=$PATH:$HOME/bin
export PATH
# test dir
export TEST_ETL=/test/etl
'i'를 통해 삽입을 실행하고, 추가하고자 하는 변수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이후 ':wq'를 통해 저장하고 종료하면 됩니다. 저는 'TEST_ETL'이라는 변수를 추가했습니다.
(base) [root@server dm]# source .bash_profile
source를 통해 수정한 bash_profile을 적용합니다.
(base) [root@server dm]# exit
logout
(base) [ec2-user@server ~]$ sudo su -
Last login: Fri Oct 7 08:31:34 KST 2022 on pts/2
(base) [root@server ~]# echo $TEST_ETL
/test_etl/etl
해당 계정에서 logout하고 다시 login을 한 후, bash_profile에 추가한 변수를 출력해보면 자동으로 설정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inux를 최근에 공부하며 작성한 글이기 때문에 틀린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참고>
[1]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writer0713&logNo=220702559704
[Linux] bash쉘이란?
Bash은 Bourne Again Shell의 축약어이다. 이것은 원래의 Bourne 쉘과 호환이 가능하며 명령 라인 편...
blog.naver.com
[2] https://server-talk.tistory.com/8
bash_profile 시스템 환경변수 등록
bash_profile 시스템 환경변수 등록 알아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를 사용하시다보면 보편적으로 컴맨드(명령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눅스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명
server-talk.tistory.com
'Data Engineering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Windows에서 Ubuntu Linux 설치 (3) | 2023.11.09 |
---|---|
[Linux] 문자열 분리 (Split string) - awk, split (0) | 2022.10.11 |
[Linux]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정리 (0) | 2022.08.25 |
[Linux] Linux에서 Python 파일 생성 및 실행 (2) | 2022.08.23 |
댓글